아는만큼 보인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해당되는 글 1건

  1. 환단고기를 구성하는 역사서의 저자들

환단고기를 구성하는 역사서의 저자들

진실의 역사

『환단고기』를 구성하는 각 역사서의 저자들

안함로와 원동중의 『삼성기』에 대해서는 『세조실록』에 명확하게 등장한다.

팔도관찰사八道觀察使에게 유시諭示한 내용 중에 “안함로원동중삼성기安含老元董仲三聖記”라고 하여 안함로와 원동중의 『삼성기』를 언급하고 있다.

그런데 위서론자들은 70여 년 후에 쓰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안함安咸·원로元老·동중董仲’ 세 사람이 황해도 해주 수양산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삼성기』의 저자를 안함로, 원동중 두 사람으로 보는 것은 잘못이라 주장한다.

따라서 진서론에서 전거로 사용하는 『조선왕조실록』의 ‘안함로원동중삼성기安含老元董仲三聖記’라는 기록이 잘못되었으니 ‘안함·원로·동중의 삼성기’로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얼핏 일리 있는 말로 들리지만 이 주장에는 커다란 모순이 있다.

일반적으로 책을 인용할 때 앞서 나온 책을 인용하는 것이 상식이다.

그런데 이 경우는 『세조실록』을 기록하는 사람이 70여 년 후에 쓰인 『신증동국여지승람』을 인용하였다는 상식 밖의 주장으로 본질을 호도하고 있다.

그리고 『세조실록』에서는 저자가 세 명 이상일 경우 ‘문태, 왕거인, 설업 등 세 사람이 쓴 책’이라고 사람 수를 명시하였다.

즉 이름을 나열할 때 몇 사람인지 혼동이 생길 여지가 있으면, 몇 사람이라는 것을 분명히 밝힌 것이다.

그러므로 안함로와 원동중 두 사람이 『삼성기』를 저술했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또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나오는 ‘안함安咸’은 『세조실록』에 나오는 ‘안함安含’과 독음만 같을 뿐 글자가 다르다.

더욱이 『왕조실록』은 정확성을 요구하는 정사正史이므로 기록자들이 ‘안함安含과 안함安咸’, ‘로원老元과 원로元老’를 잘못 기록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따라서 이들을 동일 인물로 보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문헌고증을 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하는 부분에서 오류를 범하며 견강부회牽强附會를 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삼성三聖이 아니라 삼인三人이라 기록하고 있으므로, 삼성三聖과 삼인三人을 같은 의미로 보는 것은 억측일 뿐이다.

설혹 『세조실록』 에 있는 해당 기록을 ‘안함, 로원, 동중이라는 세 성인에 대한 기록’으로 해석한다고 하더라도, 수양산성을 쌓은 세 사람을 과연 성인聖人이라 볼 수 있는 어떤 증거도 없다.

만약 성인으로 기록할 정도라면 기록역사를 자랑하는 조선에서 이 인물들의 업적이 없다는 것도 이상하지 않은가.

성인 정도라면 그들의 행적에 대한 책이나 가르침이라도 전수되어야 할 것이 아닌가.

원동중의 삼성기가 실재했다는 또 다른 증거는 이맥의 『태백일사』 「소도경전본훈」에 ‘원동중元董仲 삼성기三聖記 주注’라는 대목이다.

이것을 보면 이맥이 원동중의 『삼성기』에 주注가 달린 책을 보고 『태백일사』를 저술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위서론자들이 말하는 ‘안함·원로·동중의 세 성인에 대한 기록’으로 읽어야 한다는 주장은 오로지 비판을 위한 비판으로밖에 볼 수 없다.

따라서 ‘안함로원동중삼성기安含老元董仲三聖記’는‘안함·원로·동중 세 성인의 기록’이 아니라 ‘안함로, 원동중의 삼성기’인 것이다.

또 위서론자 이순근은 구한말에 나온 도기론道器論이 『단군세기』에 나오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주역』에는 이미 “형이상자위지도形而上者謂之道 형이하자위지기形而下者謂之器”라는 문구가 나온다.

도기론은 이에 근거해서 도道와 기器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또한 이순근은 “당대當代의 왕을 상上이라고 하면서도 자기 나라를 고려라 칭한 것도 이해할 수 없는 표기법이다. 이 경우는 아조我朝, 본조本朝, 혹은 아국我國 정도로 표현해야 옳을 것이다”라고 말하면서 『단군세기』를 고려 때 이암이 아니라 후대에 다른 사람이 지은, 사료적 가치가 없는 위서로 몰았다.

 

그리고 서울대 국사학 교수를 역임한 한영우 또한 “또 한 가지 결정적 의문은 고려高麗니 몽고蒙古니 하는 용어다. 공민왕 시기의 당시 사람들은 고려니 몽고니 하는 용어를 쓰지 않았다. 더욱이 원나라 간섭기에 대신을 지낸 행촌의 입장에서는 쓸 수 없는 용어다”라고 하여 저자에 대해 강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이암이 고려와 몽고라는 표현을 쓴 이유는 ‘선가의 의식과 유가의 의식의 차이’를 들어 이해할 수 있다.

『청학집』을 보면, 조선조 유가에서 잘 사용하지 않던 조선이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가나 선가에서는 일상적으로 우리나라 또는 우리 민족의 의미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단군세기』 서문이나 본문을 읽어 보면 이암의 사상적 경계는 유가보다는 오히려 한민족 신교문화의 전통 도가 쪽에 가깝다.

따라서 이암이 아국이라 하지 않고 고려나 몽고라 호칭한 것은 결코 이상한 일이 아니다.

 

『단군세기』 서문은 논리가 매우 치밀한 글이다.

이암은 ‘국유형하고 사유혼하니’라는 구절을, 그 논리를 마무리 지을 때까지 세 번이나 반복한다.

『단군세기』 서문을 제대로 해석하려면, 이암이 이 글을 쓰던 당시의 시대 배경을 알아야 한다.

12세기 초엽에 원나라는 세계의 3분의 1을 점령한 대제국을 건설했고, 고려는 원의 부마국이 되어 간신히 명맥을 유지한 채 내정간섭을 받고 있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오잠, 류청신 같은 역적이 나와서 고려라는 나라 이름을 없애고 원나라의 속국이 되기를 주청했다.

 

이렇게 국운이 기울어져 고려 5백 년 사직이 패망당할 통탄스러운 상황에서, 행촌은 동북아 창세 시대의 뿌리 종교이자 시원 사상인 신교의 핵심인 ‘삼신의 우주사상과 인간론’을 전하면서 위정자들에게 매서운 질타를 한 것이다.

조정에는 만고역적이 들끓고, 역사상 가장 큰 영역을 차지한 원나라의 침략으로 망해 가는 조국의 허망한 현실에 비분강개하여, 신교문화와 시원역사의 부활을 절규하며 글을 쓴 것이다.

 

또한 이암은 『단군세기』 서문에서 마음의 근원과 신의 상호관계를 명쾌하게 정의한다.

그 중에서 성자性者는 신지근야神之根也 즉 ‘인간 마음의 바탕 자리는 신이 존재하는 뿌리가 된다’는 구절은 인간과 신의 관계에 얽힌 수수께끼를 완전히 풀어 주는 깨달음의 극치를 보이는 문장이다.

그것은 공자의 중용, 석가모니의 중론보다 훨씬 위대한 말씀이며, 환단의 천지 광명 사상을 활연관통한 사람이 아니면 결코 쓸 수 없는 간결한 명문이다.

 

한영우는 또 『단군세기』에 나오는, 초대 단군왕검이 백성에게 내려 준 생활 실천 과제라 할 수 있는 ‘팔조금법八條禁法’의 문장이 간결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단군세기』를 이암이 쓴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단군왕검이 고조선 창업자로서 백성들에게 삶의 지침으로 여덟 가지를 정해서 내려 준 것을 놓고 문장이 길다고 트집을 잡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단군왕검의 가르침은 그 구성과 체계가 매우 논리정연하다.

그래서 이도학은 위서론자이면서도 『단군세기』 서문을 분석하는 글의 마지막 부분에서 ‘『단군세기』를 이암이 아닌 다른 사람이 쓴 것이라고, 거짓으로 몰면 안 된다’고 결론지었다.

 

이처럼 사리에 맞지 않게 문제를 제기하는 위서론자들의 무지몽매함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가 있다.

그것은 『환단고기』를 위서로 몰아붙이면서 저지른 결정적인 실수인데, 바로 ‘잠청배潛淸輩’라는 문구에 대한 잘못된 해석이다.

 

잠청배는 원래 이암이 『단군세기』 서문에서 처음으로 쓴 말이다.

고려의 역적이었던 오잠과 류청신의 이름을 빗대어 ‘오잠과 류청신과 같은 간신배’라는 뜻으로 사용하였다.

이것을 위서론자들은, 청일전쟁에서 승리하여 조선 땅에서 청나라를 몰아낸 일본이 ‘청과 몰래 내통한 무리’를 가리켜 한 말이라고 잘못 해석하였다.

역사의 상식에 무지한 소치이다.

이렇게 잠청배를 잘못 해석한 그들은 잠청배가 조선 말기에 나온 말이므로 『단군세기』 서문은 이암이 아닌 구한말 이후의 사람이 쓴 것이라는 억지 주장을 한다.

 

이승호는 이러한 잘못에 대하여 “(위서론자들의) 이런 오류는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인데 특정한 시각이나 목적으로 『환단고기』를 이해한 것처럼 보인다”라고 말한다.

즉 위서론자들이 위서로 낙인찍기 위한 불순한 목적을 가지고 『환단고기』를 해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말이다.

이처럼 위서론자들은 『환단고기』의 가치를 파괴하고 훼손하기 위해 어떤 무리한 비판도 불사한다.

이러한 예만 보아도 위서론자들이 식민사학의 변론자로서 동북아 원형 문화의 눈을 가리는 반민족적 행태를 얼마나 서슴없이 저지르고 있는지 새삼 절감하게 된다. 《환단고기 역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