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만큼 보인다

'흑사병'에 해당되는 글 1건

  1. 서구 근대를 연 흑사병④

서구 근대를 연 흑사병④

생존의 비밀

서구 근대의 문을 연 흑사병

 

유럽의 중세는 암흑기였다.

14세기에 창궐한 흑사병은 5세기 중반 아테네에서 벌어진 상황과 기이할 정도로 유사하게 인간 사회를 해체시킨 강력한 전염병이었다.

 

흑사병Black Death은 서양의 중세를 무너뜨렸다.

페스트라 불리는 흑사병은 ‘역사상 최악의 연쇄 살인마’ 라고 일컬을 정도로 이미 인류에게 자연 재앙의 공포를 상기시키는 문화적 상징이 되어 있다.

현재 의학계에서는 이 흑사병을 앞으로 일어날 병란 상황의 모델로 놓고 연구하고 있다고 한다.

‘흑사병’은 몸이 새카맣게 되면서 죽는 병이라는 뜻이다.

쥐벼룩으로 감염이 되는데, 이 병에 걸리면 불에 데었을 때 나타나는 수포처럼 생긴 종기가 몸의 구석구석에 생겨나면서 고열과 발작이 일어난다.

종기가 작은 사과나 달걀만 하게 커지면 극심한 고통과 함께 피를 토하고, 사나흘째 되면 온몸이 곪아서 죽게 된다.

본래 흑사병은 중국 운남성의 풍토병이었다고 한다.

13세기 중반, 몽골제국의 황제 뭉케(1208〜1259)가 남송제국을 공격하기에 앞서 교두보 확보를 위해 운남 지방을 정벌하였는데, 이때 흑사병균이 몽골 군사에게 전염된 것으로 본다.

이것이 1300년대에 전 세계에 불어 닥친 급격한 기후 환경 변화 때문에 창궐하게 되었다.

몽골 군대와 함께 북쪽으로 올라간 흑사병은 1331년에 북경에서 대발을 하였고, 북경 인구의 3분의 2가 이 전염병으로 사망하였다.

이후 흑사병은 유라시아 실크로드를 타고 유럽으로 퍼져 갔다.

1346년, 흑사병은 현재의 흑해 연안 크림 반도의 항구 도시인 카파Kaffa에 도착하였다.

당시 이 도시는 3년 동안 킵차크한국(몽골제국에 속한 나라)의 통치자인 야니벡에게 포위 되어 있었다.

그 안에는 제노바의 상인들도 갇혀 있었다.

 

흑사병은 먼저 도시를 포위하고 있던 몽골군을 습격하였다.

몽골의 병사들이 죽어 넘어가자 야니벡은 살아남은 군사들과 철수하면서, 투석기를 사용하여 감염된 시체를 카파의 성벽 안으로 던져 넣었다.

성 안의 사람들이 시체를 성벽 너머 바다로 다시 던져 버렸지만, 페스트는 이미 도시 안에 퍼진 상태였다.

 

1347년, 몽골군이 철수한 뒤 자유를 찾은 제노바 상인들은 성에서 나와 배를 몰고 이탈리아로 향했다.

그들과 함께 흑사병도 지중해의 다른 항구로 빠르게 번져 나갔고, 1350년에는 전 유럽에 전염이 되었다.

폐 페스트나 패혈성 페스트에 걸린 사람들은 아침에 멀쩡하다가도 밤이 되기 전에 피를 토하며 죽었다.

 

당시 사람들은 이 병을 ‘떼죽음big death’ 이라 불렀다.

흑사병은 1347년부터 1351년 사이의 짧은 기간 동안 맹렬한 위세를 떨쳤다.

최소한 유럽 인구의 3분의 1, 전 세계에서 7천5백만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이탈리아 시에나의 한 생존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겼다.

「아버지는 자식을 버리고, 남편은 아내를, 형은 동생을 … 아무도 돈이나 우정으로 죽은 이를 매장할 수 없었다. 사람들은 주야로 수백 명씩 죽어갔고 모두가 구덩이에 버려져 흙으로 덮였다. 구덩이가 메워 지자마자 더 많은 구덩이를 팠다. 나, 투라의 아놀로는 이 손으로 내 다섯 아이들을 묻었다.」

 

흑사병으로 유럽 인구는 최소 3분의 1인 2,500만 명이 죽고 아프리카, 아시아 일부에서도 인구의 4분의 1 내지 절반이 죽었다.

중국은 흑사병으로 전체 인구의 3분의 1이 죽었다.

이는 당시 중국을 지배하던 몽골의 힘을 약화시켜 몽골제국의 해체를 가속화시키는 한 계기가 되었다.(존 켈리 지음, 이종인 옮김 ,「혹사병시대의 재구성』, 도서출판 소소, 2006, 재인용.)

 

교회도 흑사병을 피할 수는 없었다.

어떤 교구에서는 성직자의 70〜80퍼센트가 이 병으로 죽었다.

교황의 탄식 소리가 그치지 않았고 교회의 권위는 땅에 떨어졌다.

너무도 많은 사람이 허망하게 죽자 사람들은 교회나 봉건 제후 대신 페스트에 비교적 신속히 대처한 도시 정부를 더 믿기 시작했고, 이를 계기로 공용어였던 라틴어 대신 각국의 세속 언어가 공식 문서에 쓰이기 시작하였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인간의 의식과 태도의 변화였다.

흑사병은 인간으로 하여금 중세의 기독교 세계관에서 벗어나 인간의 본질에 눈뜨게 하였다.

그리하여 화가들은 천상에 대한 그림보다는 고뇌하고 고통에 찬 인간의 모습을 즐겨 그렸다.

이로써 르네상스의 밑거름이 마련되고, 종교개혁이 일어나는 등 바야흐로 문명의 대전환이 시작되었다.

 

또한 수많은 농노의 죽음으로 노동력이 부족하게 되자 임금이 상승하였다.

농노들은 귀족의 부와 권력을 잠식하여 차츰 소작인, 소지주(자작농) 또는 장인으로 독립하였다.

흑사병은 엄격했던 사회 계층 구조를 흔들어 유럽의 중세 봉건 사회를 무너뜨리고 근대 자본주의를 발흥 시키는 요인 가운데 하나로 작용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흑사병은 1천 년 동안 지속되었던 유럽의 중세를 막 내리고 근세로 이행하도록 ‘인류 역사의 행로’를 바꾸어 버렸다.

그런데 여기서 꼭 강조하고 싶은 의학사의 사실이 하나 있다.

 

흑사병이 유럽을 한창 휩쓸던 때에, 환자를 간호하던 일부 단체의 수도사들은 감염이 되었어도 쉽게 회복되었고, 한 번 앓고 나면 면역력이 생겨서 다시는 걸리지 않았다는 점이다.

수도修道가 병을 이겨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역사상 가장 가혹했던 14세기 중엽 유럽의 흑사병은 유럽 인구의 3분의 1에서 절반까지 죽음에 이르게 했다.

 

전염병을 연구하는 전문 역학자疫學者들은 인류가 전염병의 주기에 들어섰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들이 진단하는 것처럼 현대판 흑사병이 도래한다면 인류는 과연 살아남을 준비가 되어 있는가? 『생존의 비밀』<4>